건강/나의 수영 도전기

배영 발차기, 딱 한 마디로 감 잡은 순간(가장 도움이 많이 된 조언)

100segoa 2025. 5. 1. 06:59
반응형

 

배영 발차기 연습할 때,
정말 많은 설명을 듣고,
수없이 다리도 움직여봤지만
잘 떠가지도 않고, 앞으로도 잘 안 나갔다.

 

우리 반 줄 꼴찌에 서 있는 내가 앞 사람이 출발한 뒤

거의 바로 출발해도 나중에 도착할 때 보면

내 앞 사람보다 훨씬 늦게야 도착할 정도로 발차기가 잘 안 되었다.

(자유형도 마찬가지. 만년 꼴찌자리 언제 벗어날지..ㅠ) 

 

유튜브에서는 '발등으로 물을 위로 퍼올리듯이' 차올리라고 했고

강사님은 계속 내가 발을 너무 수면 가까이 찬다고 물 속에서 세게 차라고만 하셨는데

둘 다 내가 발차기 감을 잡는데 그리 큰 도움이 되지는 않았다. 

 

나의 이런 고민을 수영 카페에 적었는데... 누군가가 달아준 댓글에

'내 눈이 번쩍 뜨였다!!!'

 

"발등으로, 물을 진행방향 반대로 밀어낸다는 느낌으로 차세요."

 

그 순간,
뭔지 지금 당장 시험해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. 

발등을 길게 펴고,
물 방향과 반대쪽으로 부드럽게 미는 느낌.
허벅지부터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움직임.

힘으로 차는 게 아니라
물과 부드럽게 밀고 당기는 느낌이었다.


다음 날 강습에서 

 

✔ 발끝을 길게 뻗고
✔ 발등 전체로 부드럽게 밀어내고
✔ 몸은 힘 빼고 둥실~ 둥실~

조급해하지 않고 리듬을 느끼면서 발차기했더니,
어느새 배영킥판 발차기가 훨씬 편해지고,
킥판 없이 발차기만으로도 가라앉지 않고 앞으로 조금씩 나아갈 수 있었다.


원래는 발차기를 잘 못해서 팔을 엄청 돌렸더니 

팔 관절 소모가 심해서 수영이 끝나면 팔이 엄청 아팠었다. 

발차기를 잘 해야 하는 이유는 효율적으로 빠르게 가기 위한 것도 있지만

부상의 위험을 줄이기 위한 이유도 있다.

 

발차기가 좀 되니까 팔도 허우적허우적 막 돌리던 것이

좀더 여유있게 위로 쭉쭉 뻗으며 귀 옆으로 붙이며 예쁘게 돌릴 수 있게 되었다. 

 

아직 정돈된 자세가 되려면 좀더 연습해야겠지만

다행히 잘할 수 있겠다는 자신감이 생겼다. 

 

 

✨ 한 줄 정리

"배영 발차기는 발등으로 물을 품어내듯 밀어내는 것."

 

반응형